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보조정렬
- react
- es6
- SQL
- mybatis
- Sqoop
- Java
- table
- SPC
- Eclipse
- JavaScript
- vaadin
- GIT
- NPM
- Python
- plugin
- xPlatform
- 공정능력
- Kotlin
- Spring
- IntelliJ
- R
- SSL
- Android
- hadoop
- MSSQL
- mapreduce
- Express
- window
- tomcat
- Today
- Total
목록2018/05/25 (2)
DBILITY
java8에 추가된 stream을 이용해 보자. MapReduce에선 mapper에서 한줄씩 읽어 조건에 맞는 데이터 처리등 transform을 하고 한줄씩 쓰고, reducer에서 key를 기준으로 reduction,aggregation 즉 집계처리할 수 있는데, 2년전에 해본거라 기억이 가물거리지만ㅎㅎ stream을 이용하면 map,reduce가 가능하다. 마치 method chain(?)처럼 동작한다. stream은 일종의 데이터의 순열정도라고 본다.nPr? 아니다. 그냥 순서가 있는 원소의 집합이라고 해야 할까... 아래 코드는 1~10까지의 정수형 배열의 요소의 합계를 계산하는 것이다. 기록하고 몇번이건 봐야 기억할 수 있다.피곤하다. package com.dbility.bigdata.lambd..
자바는 매개변수로 인스턴스만 전달 가능했다. 첫번째 쓰레드를 보면 run 메서드만 실행하려 해도 방법이 없으므로, Runnable객체를 생성해서 전달한다. 람다식은 함수를 매개변수로 넘길 수 있도록, 인터페이스 중 단 하나의 메서드만 존재하는 함수형 인터페이스 (@FunctionalInterface)를 준비 익명메서드로 전환한다. 자바 람다는 핵심적인 3개의 부분으로 구성 ( "함수의 인자"->"함수의 내부 구현코드" ) 괄호 안의 매개 변수 집합, 화살표. 그리고, 하나의 표현식이거나 코드 블록이 될 수 있는 바디 ※ 매개변수는 타입을 명시하지 않을 경우 타입을 추론한다. Interface가 하나만 존재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나보다. 람다식 형태 ( parameters ) -> expression bo..